Android 플랫폼 빌드 속도 향상시키기

Posted on 06/02/2018 in tech

최근에 덩치가 큰 소프트웨어 작업을 진행하면서, 제대로 된 CI서버가 없어서 고단하던 참에, 때 마침 CI서버 구입 승인이 나면서 새롭게 구성했습니다. 대략적인 서버 사양은 다음과 같습니다.

HP나 Dell 등과 같은 서버 벤더에서 구입하는 장비들은 가성비도 안 나오고, 게다가 굳이 서비스 받을 일도 없어서, PC부품 조립하는 것과 유사한 사양으로 뽑았습니다. 그리고 ubuntu 18.04 server 를 설치 후 작업 중인 소프트웨어 빌드(Android 8.1)를 수행해보았습니다.

업무용 개인 Desktop PC(i7-7700k, 64Gb)에서 2시간 반 가량 걸리던 작업이 1시간 가량으로 줄어들었습니다만 만족할만한 수준은 되지 않았습니다.

그래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나누어서 tuning을 해보았습니다.

cpu governor

최근 intel cpu들은 작업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clock이 조정되는데 기본 값으로는 어떻게든 전원을 적게 사용하게 되어 있어서 기본 성능이 충분히 나오지 않습니다. linux-tools 패키지에 포함된 cpupower 라는 도구를 이용해 부팅할 때 cpu 성능을 되도록이면 잘 나올 수 있도록 조정했습니다.

$ sudo cpupower frequency-set -g performance

disk layout

빌드 할 때 사용할 disk는 다음과 같이 특성에 나누어서 bcache 및 zram을 활용했습니다.

  • /dev/bcache0 : /srv/workspace

빌드 할 때 필요한 소스를 내려받는 위치입니다. 수시로 gerrit서버의 자잘한 변경 사항을 checkout 하면서 write작업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writeback cache mode를 사용하도록 했습니다.

  • /dev/bcache1 : /srv/storage

빌드 할 때 필요한 소스의 git object를 받아두는 위치입니다. 하루에 1번씩 밤에 gerrit서버의 전체 내용을 sync 합니다. 하루에 1번만 야간에 write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write 속도는 빠르지 않아도 되어서, writethrough cache mode를 사용합니다.

  • /dev/zram0 : /srv/build

빌드 할 때 생성되는 object 파일을 보관하는 위치입니다. 여간하면 tmpfs를 이용하려고 했는데, android 프로젝트에서 생성하는 object 및 binary 크기가 130Gb에 육박해서 시스템의 메모리에 한꺼번에 적재가 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압축 기법을 이용하는 zram을 이용해서 물리적인 크기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가 들어가게 구성했습니다.

repo init && sync

위에서 구성한 disk layout을 활용할 수 있도록 git-repo 를 이용해 소스 다운 받을 수 있도록 했습니다.

$ cd /src/workspace/Android
$ repo init -u http://gerrit.local/manifests \
    --reference=/srv/storage/gerrit-mirror
$ repo sync -j48 -c --no-tags

repo init 시 —reference 옵션을 이용하면 지정한 위치의 repository에 포함된 git object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처음 repo 를 구성하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이 완료됩니다.

android clean build

소스를 구성한 후, 빌드 할 때 다음과 같은 옵션을 사용합니다.

$ export USE_CCACHE=1
$ make -j48 droid OUT_DIR_COMMON_BASE=/srv/build dist

ccache를 이용해서 빌드 시간을 줄이는 것은 꽤 알려진 방법입니다. 이외에 안드로이드에서 빌드 할 때 OUT_DIR_COMMON_BASE 옵션을 주면 지정된 디렉토리 아래에 object 및 binary가 생성됩니다. 디렉토리 위치를 zram이 마운트 된 위치를 주게 해서, write속도에 이득을 얻으면서, 또한 flash write 회수를 줄여서 장비의 수명을 늘일 수 있게 됩니다.

그리고 dist 옵션을 사용하면 실제 단말에 필요한 파일만 out/dist 디렉토리에 모이게 됩니다.

incremental build

풀 빌드가 끝난 뒤 이전 빌드의 오브젝트를 재활용해서 빌드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build target 설정이 달라지면 (ex: x86 -> arm) 기존의 바이너리가 대부분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. 또한 ramdisk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어서 build target별로 보관이 불가능합니다.

그렇다고 build 결과물을 빌드할 때마다 복사하는 것은 빌드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리는 작업입니다. (build 결과물 130Gb 옮기는데 대략 10분 걸림)

그래서 다음과 같은 빌드 전략을 세웠습니다.

  • nightly build 는 항상 clean build
    • clean build가 끝나면 /dev/bcache0 : /srv/workspace 디렉토리 아래의 지정된 위치에 복사
    • nightly build 완료 이후, 추가 작업의 경우에는 빌드 서버의 이용자가 없을 것이기 때문에,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도 상관이 없습니다.
  • incremental build 할 때는 nightly build 에서 빌드한 후 /srv/workspace 디렉토리로 옮겼던 작업 결과를 overlayfs 를 이용해 재활용

이러한 최적화를 수행한 후 clean build는 기존의 1시간에서 14분으로 줄어 들었고, incremental build는 3분만에 완료할 수 있게 되었습니다.